목록조선시대 계보 (39)
GLADNESS

조선 제19대 왕 숙종"肅宗"은 1661년 10월 7일(음력 8. 15) 현종(18대)과 "명성왕후 김씨"사이에서 하나뿐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1674년 9월 17일(음력 8. 18)에는 "현종"이 갑자기 세상을 떠나면서 "숙종"이 14살의 나이에 왕권을 이어받게 됩니다. 어린 나이였지만 직접 친정(직접 나라를 다스림)을 시작한 "숙종"은 당시 서인과 남인으로 나뉘어 극렬히 대치했던 당파 싸움의 한가운데 놓이게 됩니다. 하지만 "숙종"은 집권 세력을 바꾸어가며(환국 정치) 왕권을 강화했는데 특히 서인의 지지를 받던 왕비(계비) 인현왕후와 남인의 지지를 받던 후궁 "희빈 장씨"를 차례로 폐비시키기며 양쪽 세력 모두 약화시키기도 했습니다. 숙종은 9명의 부인 사이에서 6남 2녀의 자녀를 두었습니다.(3명의..

조선 제18대 왕 현종"顯宗"은 1641년 3월 14일(음력 2. 3) 효종(17대)의 하나뿐인 아들로 태어났으며 처음 이름은 "이원"이었습니다. 아버지 "효종"이 1649년 왕위에 오르면서 자연스럽게 "왕세자"에 책봉되었으며 이후 1659년에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조선 18대 임금에 즉위하게 됩니다. "현종"은 왕비(명성왕후) 사이에서 1남 3녀의 자녀가 있었으며 조선 역사상 최초로 후궁은 두지 않았습니다. 후궁을 두지 않았던 이유는 왕비가 매우 성격이 과격했기 때문에 후궁을 둘 수 없었다고 전해지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현종"이 왕비를 매우 사랑해서 후궁을 두지 않았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부"父": 효종(17대) "1619~1659" 모"母": 인선왕후 장씨 "1619~1674" 조선 18대 왕 현종..

조선 제17대 왕 효종"孝宗"은 1619년 7월 3일(음력 5. 22) 인조(16대)와 "인열왕후 한씨" 사이에서 2남으로 태어났으며 처음 이름은 "이호", 1626년 "봉림대군"에 봉해졌습니다. 1636년 12월에는 청나라(후금)가 병자호란을 일으켜 조선의 항복을 받아내면서 자신의 형 "소현세자"와 함께 볼모로 잡혀가게 됩니다. 이후 1645년 조선으로 먼저 돌아온 "소현세자"가 갑자기 세상을 떠나면서 "봉림대군(효종)"이 귀국해 세자로 책봉되었으며 1649년에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왕위를 이어받게 됩니다. 효종은 4명의 부인 사이에서 1남 7녀의 자녀를 두었으며 다음 왕위는 하나뿐인 아들 "현종"이 1659년 이어받게 됩니다. 부"父": 인조(16대)"1595~1649" 모"母": 인열왕후 한씨"15..

조선 제16대 왕 인조"仁祖"는 1595년 12월 7일(음력 11. 7) 선조(14대)의 5남 정원군(원종)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처음 이름은 "이종", 이후 "능양군"에 봉해졌습니다. 왕권과 거리가 멀었던 "능양군(인조)"은 "선조"에 이어 왕위에 오른 "광해군(15대)"이 1623년 4월 서인을 중심으로 일으킨 반란으로 폐위되면서 조선 16대 왕으로 옹립됩니다. 이후 "인조"는 광해군의 중립외교를 버리고 "명"을 가까이하는 "친명배금" 정책을 펼치다가 "후금(청)"의 침략으로 1627년 "정묘호란"과 1636년 "병자호란" 등으로 굴욕을 당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인조"는 5명의 부인 사이에서 6남 1녀의 자녀를 두었는데 전쟁에 패하면서 장남 "소현세자"와 "봉림대군(효종)"을 "청"에 볼모로 보내게..

조선 제15대 왕 광해군"光海君"은 1575년 6월 4일(음력 4. 26)에 "선조(14대)"와 "공빈 김씨"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처음 이름은 "이혼"이었으며 이후 "광해군"에 봉해졌습니다. "선조"는 왕비(정비) "의인왕후 박씨" 사이에서 아들이 없어 왕세자를 책봉하지 못했는데 1592년에 임진왜란이 발생하자 가장 총명했던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합니다. . 이후 "광해군"은 뛰어난 자질로 국난을 극복하는데 많은 공을 세우며 수월하게 왕권을 이어받는 듯했지만 1606년에 왕비(계비)로 책봉된 "인목왕후" 사이에서 "영창대군"이 태어나면서 상황은 급변합니다. "선조"는 세자의 자리를 "영창대군"에게 주려고 했지만 결국 뜻을 이루지 못하고 1608년 3월 16일(음력 2월 1일) 55세의 나이..

조선 제13대 왕 선조"宣祖"는 1552년 11월 26일(음력 11. 11)에 "중종(11대)"의 일곱째 아들 "덕흥군(덕흥대원군)"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균", 이후에 "하성군"에 봉해졌습니다. 1567년에 명종(13대)이 34세의 나이에 후사를 남기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자 당시 16세였던 하성군(선조)이 조선 14대 왕위에 오르게 됩니다. "선조"가 임금의 자리에 오르게 된 것은 조선 역사상 최초로 후궁에게 출생한 서자의 핏줄이 즉위한 것이며 또한 "선조"의 아버지가 "대원군"으로 추존되면서 최초의 "대원군제도"도 시행되었습니다. "선조"는 8명의 부인 사이에서 14남 11녀의 자녀를 두었으며 다음 왕위는 "광해군"이 이어받게 됩니다. 부"父": 덕흥대원군"1530~1559" 모"母":..

조선 제13대 왕 명종"明宗"은 1534년 7월 3일(음력 5월 22일) 중종(11대)과 "문정왕후 윤씨"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환", 이후 "경원대군"에 책봉되었습니다. 1544년에는 아버지 "중종"의 뒤를 이어 이복형 "인종(12대)"이 임금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는데 재위 8개월 만에 후사도 남기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게 됩니다. 이후 경원대군(명종)이 12살의 나이에 조선 13대 왕위에 즉위하게 되었으며 어머니 "문정왕후 윤씨"가 수렴청정을 하게 됩니다. "명종"은 7명의 부인 사이에서 1명의 자녀를 두었는데 그마저도 13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으며 다음 왕위는 덕흥대원군의 셋째 아들 "선조"가 이어받게 됩니다. 부"父": 중종(11대)"1488~1544"(재위: 1506~1544) 모"母":..

조선 제12대 왕 인종"仁宗"은 1515년 3월 10일(음력 2. 25) 중종(11대)과 "장경왕후 윤씨"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처음 이름은 "이호"입니다. 1520년 4월에는 왕세자에 책봉되었으며 1544년 12월 4일(음력 11. 20)에는 30세의 나이에 조선 12대 왕에 오르게 됩니다. 하지만 몸이 허약했던 "인종"은 조선 역사상 가장 짧은 8개월 간의 재위 기간을 끝으로 세상을 떠나게 되었고 이복동생 "명종"이 12살의 나이에 왕위를 계승하게 됩니다. "인종"은 4명의 부인이 있었지만 자녀를 두지 못했습니다. 부"父": 중종(11대)"1488~1544"(재위: 1506~1544) 모"母": 장경왕후 윤씨"1491~1515" 조선 제12대 왕 인종"仁宗" "1515~1545"(재위: "154..

조선 제11대 왕 중종"中宗"은 1488년 4월 16일(음력 3월 5일) 성종(9대)과 "정현왕후"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처음 이름은 "이역"이었으며 이후 "진성대군"에 봉해졌습니다. 1494년에 아버지 "성종"이 세상을 떠나면서 조선 10대 왕은 중종의 이복형 "연산군"이 왕위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폭정을 거듭했던 "연산군"은 신하는 물론 백성들에게도 외면받기 시작했고 결국 1506년 훈구파를 중심으로 일으킨 반정으로 폐위되었으며 이복동생 "진성대군(중종)"을 조선 11대 왕으로 추대합니다. 중종은 12명의 부인 사이에서 9남 11녀의 자녀를 두었습니다. 부"父": 성종(9대)"1457~1494"(재위: 1469~1494) 모"母": 정현왕후 윤씨"1462~1530" 조선 11대 왕 중종"中宗" ..

조선 제10대 왕 연산군"燕山君"은 1476년 11월 23일(음력 11, 7) 성종(9대)과 "폐비 윤씨"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처음 이름은 "이융"이었습니다. 어머니 "폐비 윤씨"는 후궁으로 간택되어 성종의 총애를 받으면서 1476년 왕비의 자리까지 오르게 되었는데 이후 좋지 못한 행실과 과격한 언행 등의 이유로 1479년 폐비되었고 결국 1482년에 사약을 받고 사사됩니다. 이후 연산군은 1483년 "왕세자"에 책봉되었으며 1494년 "성종"이 세상을 떠나자 19살의 나이에 조선 10대 왕에 오르게 됩니다. 연산군은 임금의 자리에 오른 이후 무오사화(1498년)와 갑자사화(1504) 등을 일으키며 폭정을 거듭했고 결국 1506년 훈구파를 중심으로 반란이 일어나 진성대군(중종)을 왕으로 추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