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364)
GLADNESS
조선 12대 왕 인종"仁宗"은 연산군(10대 왕)을 몰아내고 1506년 반정으로 왕위에 오른 중종(11대 왕)과 "장경왕후 윤씨" 사이에서 1515년 3월 10일(음력 2월 25일)에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호"입니다. 어머니 "장경왕후 윤씨"는 1491년 파원부원군 "윤여필"의 둘째 딸로 태어나 1507년에 왕비(1계비)로 책봉되어 "인종"을 낳았지만 1주일 만에 산후병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이후 "인종"은 할머니 "정현왕후 윤씨"가 돌보았으며 또한 중종의 다음 왕비(2계비)로 책봉된 "문정왕후 윤씨"의 영향을 받으며 자라게 되었습니다. 1520년에는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며 1524년에는 금성부원군 "박용"의 딸 "인성왕후 박씨"를 세자빈으로 맞이했습니다. "문정왕후 윤씨"는 "인종"이 세자 시절을 보내..
"소헌왕후 심씨"는 1395년 10월 12일(음력 9. 28)에 청천부원군 "심온"과 "삼한국대부인 "순흥 안씨"사이에서 3남 6녀 중에서 장녀로 태어났습니다. 14살이 되던 1408년에는 2살이 어린 충녕군(태종 이방원의 3남)과 혼인하면서 "경숙옹주"에 봉해졌습니다. 이후 세자였던 태종의 장남 "양녕대군"이 많은 문제를 일으키며 1418년 폐위되었고 "충녕대군"이 새로운 왕세자에 책봉되면서 소헌왕후도 "세자빈"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2개월 만에 전격적으로 충녕대군(세종대왕)에게 왕위를 물려주면서 조선 4대 왕위에 즉위하게 되었고 소헌왕후도 자연스럽게 왕비의 자리에 오르게 됩니다. 하지만 태종은 왕위를 양위하면서도 "군권"과 "인사권" 등을 마지막까지 주지 않고 실권을 행사했습니다. 이후 태종은 왕권 ..
조선 3대 왕 태종 이방원의 왕비 "원경왕후 민씨"는 1365년 7월 29일(음력 7. 11) 고려의 손꼽히는 명문 가문 "여흥 민씨"의 수장 "민제"와 삼한국대부인 "여산 송씨" 사이에서 4남 4녀 중 셋째 딸로 태어났습니다. 풍족한 명문가의 셋째 딸로 귀하게 자란 "원경왕후"는 어린 시절부터 매우 빼어난 외모와 총명하고 지혜로웠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아버지 "민제"는 셋째 딸 "원경왕후"의 남편감으로 당시 고려 무장으로 최고의 명성을 날리던 이성계의 4남 "이방원"을 선택해 1382년 혼례를 치르게 합니다. 2살 어렸던 "이방원"은 "원경왕후"집에 들어와 처가살이를 시작했으며 매우 행복하게 신혼 생활을 보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후 이성계가 고려 무장으로 요동정벌을 위해 진군하다가 위화도에서 ..
조선 4대 왕 세종대왕"世宗大王"은 1397년 5월 15일(음력 4월 10일) 태종 이방원과 (태조 6년) "원경왕후 민씨" 사이에서 3남으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도"였습니다. 1400년 태종이 조선 3대 왕위에 오른 이후 1408년에 충녕군"忠寧君"에 봉해졌으며 1412년에는 대군으로 진봉되면서 "충녕대군"이 되었습니다. "충녕대군"은 형이 2명(양녕대군, 효령대군)이 있었기 때문에 왕위 계승과는 다소 거리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첫째 형 "양녕대군"이 세자로서의 품위를 지키지 못하고 수차례 문제를 일으키면서 상황은 급변했습니다. 특히 결정적으로 종2품 "곽선"의 첩이었던 기생 "어리"를 강제로 궁에 들였던 사실이 발각되면서 "태종"이 크게 분노했는데 결국 왕세자의 자리에서 폐위됩니다. *조선왕조실록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 손흥민 선수는 1992년 7월 8일 강원도 춘천시 출생으로 2008년 축구 우수선수 해외유학 프로젝트에 선발되면서 독일 함부르크 유소년팀에 입단했습니다. 이후 자신의 가치를 입증하며 함부르크 정식 계약을 체결했으며 2013년에는 이적료 1000만 유로에 분데스리가 명문 "바이어 04 레버쿠젠"으로 팀을 옮기며 세계적인 유망주로 급부상합니다. 2010~13 함부르크 73경기 20골 3도움 2013~15 레버쿠젠 62경기 21골 6도움 그리고 2015년 8월에는 이적료 3000만 유로(약 400억)에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으로 이적해 세계적인 선수로 성장했습니다. 손흥민 선수의 연봉은 2015년 최초 442만 파운드(약 70억)를 시작으로 2018년 재계약을 체결하며 연봉 72..
챔피언스리그는 각 대륙의 축구 연맹이 주최하는 클럽 간 대회를 말하는 것으로 유럽에서 열리는 UEFA 챔피언스리그가 가장 대표적입니다. 대륙별 최상위 축구 클럽 대항전 챔피언스리그는 아시아: AFC, 아프리카: CAF, 북중미: CONCACAF, 오세아니아: OFC이며 남미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입니다. 일반적으로 "챔피언스리그"라고 하면 유럽 챔피언스리그를 말하는데 출전 자격은 국가별 프로축구 리그 랭킹에 따라 참가팀이 결정됩니다. 먼저 현재 유럽 프로축구 리그 랭킹 1위부터 4위까지(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스페인 "라리가", 이탈리아 "세리에 A", 독일 "분데스리가")는 상위 4개 팀이 본선에 출전합니다. 또한 다음으로 리그 랭킹 5위와 6위(프랑스 "리그 1", 포르투갈 "프리메이라리가")는..
"효령대군"은 1396년 1월 6일(음 1395. 12. 11)년 조선 3대 왕 태종 "이방원"과 "원경왕후 민씨" 사이에서 "양녕대군"에 이어 2남으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호", 이후에 "이보"로 개명했습니다. *사실 정확히 말하면 태종의 5남이지만 3명은 어린 시절 사망했다. 태종 이방원이 1400년에 조선 3대 임금에 즉위하면서 형 "양녕대군"이 1404년에 "왕세자"에 책봉되었으며 "이호"는 1405년 "효령군", 1412년 "효령대군"에 책봉되었습니다. 이후 형 "양녕대군"이 세자로서의 품위를 지키지 못하고 국왕에 오를 자질도 부족하다는 이유로 1418년 "왕세자"의 자리에서 폐위됩니다. 조선 왕실의 법도에 의하면 태종의 2남 "효령대군"이 왕세자의 자리를 이어받아야 되는데 3남 "충녕대군"이..
양녕대군은 1394년 조선 3대 왕 태종 이방원"1367~1422"과 원경왕후 민씨"1365~1420"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초명은 "이제"입니다. 정확히 말하면 양녕대군이 태어나기 이전에 태종 이방원은 아들이 3명 있었다고 전해지는데 모두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떠나면서 실질적인 장남으로 자라게 되었습니다. 아버지 태종 이방원이 1400년 정종(2대 왕)의 양위를 받아 조선 3대 국왕으로 즉위하면서 "양녕대군"이 1402년 원자"元子"에 책봉되었고 1404년에는 왕세자에 책봉됩니다. 이후 자연스럽게 왕위를 이어받을 것만 같았던 "양녕대군"은 세자로서의 품위에 어긋나는 일을 많이 하면서 아버지 "태종"과 많은 갈등을 겪게 됩니다. 또한 "양녕대군"이 국왕의 자질을 갖추지 못했다는 신하들의 상소가 이어..
서아프리카의 국가 "가나"가 2022년 카타르 월드컵에서 대한민국과 같은 H조에 포함되면서 가나 국적의 축구 선수들이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가나와 대한민국 축구대표팀은 월드컵에서 대결한 적은 없지만 역대 대표팀 대결에서는 3승 3패로 동률입니다. 가장 최근의 가나 대표팀과의 경기는 2014년 브라질 월드컵을 앞두고 친선 경기였는데 0-4으로 완패를 당하면서 아픈 기억을 남기고 있습니다. 가나 축구 대표팀에는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의 중앙을 책임지고 있는 "토마스 파르티" 선수가 가장 먼저 떠오릅니다. "토마스 파르티" 선수는 가나 축구 선수 중에서도 가장 높은 몸값을 자랑하고 있는데 축구 통계 사이트 에서는 4000만 유로(약 530억)의 가치가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손흥민 선수는 8000만 ..
우루과이는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우리나라와 같은 H조에 포함되면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과거 대한민국은 월드컵에서만 우루과이와 2차례 만난 경험이 있는데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 조별 예선에서 0:1로 패했으며 또한 2010년 남아공월드컵 16강전에서도 1:2로 쓰라린 패배를 당했습니다. 우루과이 축구대표팀에는 남아공월드컵에서 우리나에게게 결승골을 기록한 핵이빨 "루이스 수아레즈"가 가장 먼저 생각나는데 현재 한물 갔다는 평가도 있지만 아직도 가장 위협적인 선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또한 대한민국 대표팀 주장 손흥민 선수와 에서 같이 뛰고 있는 "로드리고 벤탄쿠르" 그리고 현재 우루과이 선수 중에서 가장 높은 몸값을 자랑하는 "페데리코 발베르데" 선수 등이 있습니다. 축구 통계 사이트 에 ..